전체 글

무엇이든 할 수 있는 개발 블로그
· 🍵 java
enum이란 enumeration type을 줄인 것으로, 의미있는 상수를 열거하여 사용하는 클래스 1. 🔥 enum 사용의 장점 열거체를 비교할 때 실제 값뿐만 아니라 타입까지 체크 열거체의 상숫값이 재정의되더라도 다시 컴파일할 필요 x 2. 🖥️ 사용 예시 (week) ▼ Week 정의 enum enum Week { MON, TUE, WED, THU, FRI, SAT, SUN } ▼ enum 상수를 전달 받는 today 메소드 정의 public static void today(Week week) { switch (week) { case MON: System.out.println("오늘은 월요일입니다."); break; case TUE: System.out.println("오늘은 화요일입니다."); b..
1. 트랜잭션 여러개의 SQL 문을 하나의 오퍼레이션으로 묶는 작업 단위 1.1 트랜잭션의 필요성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환경에서 데이터 무결성과 정합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 처리 중인 데이터를 다른 곳에서 조회하게 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동시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 필요 ex. 다음과 같은 문제 발생을 막기 위해 여러 SQL문을 마치 오퍼레이션으로 묶어야 하는 필요성 ⇒ 트랜잭션 2. ACID ACID :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이 안전하게 수행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성질 원자성, Atomicity 트랜잭션은 원자적 연산을 보장해야 한다. → ALL of NOTHING 모든 변경 사항이 데이터베이스에 커밋되거나 트랜잭션이 어느 시점에서 실패하면 모든 변경 사항이 롤백된다. 일관성, Consist..
1. 페이지네이션(Pasination)이란 콘텐츠를 여러 페이지로 나누어 다음 또는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특정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요소 리스트가 많아 한 화면에 과도한 스크롤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적용 1.1 페이지네이션을 사용하는 이유 많은 양의 데이터를 담고 있는 서버의 경우 사용자가 접속할 때마다 전체 데이터를 모두 가져오려면 오랜 시간이 필요하고, 이는 사용자의 편리성 측면에서 좋지 못한 결과가 발생한다. 이를 위해 페이지네이션을 이용해 데이터를 조금씩 나누어 가져오고 더 쉽고 빠른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1.2 페이지 네이션의 종류 - 오프셋 페이징 : DB의 offset 쿼리를 사용하여 '페이지' 단위로 구분하여 요청/응답하게 구현 - 커서 페이징 : 클라이언트가 가져간 마지막 row..
🚧 본격 1주차 학습 전에 ... 우선 이전에 헷갈렸거나 부족하다고 생각했던 부분을 먼저 채워넣고 싶어서, 선택 강의 중에서 필요한 부분을 찾아 들었다. 📄 객체 배열의 복사 System.arraycopy(src, srcPos, dest, destPos, length) scr 배열의 srcPos 위치부터 length길이 만큼의 배열을 복사하여, dest 배열의 destPos 위치에 대입(🚨 destPos 위치부터 마지막 배열 원소의 길이가 length 보다 짧다면 오류) 두개의 배열이 같은 객체를 가리킴 (= 얕은 복사)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객체 배열을 복사하면 객체 주소만 복사되어 한쪽 배열의 요소를 수정하면 같이 수정됨 깊은 복사 더보기 각각의 객체를 생성하여 그 객체의 값을 복사하여 배열이 서로 다..
📌 알고리즘 문제 풀이 경험 나의 알고리즘 풀이 경험은, python C 그리고 JAVA까지 대학교 교양 수업으로 잠깐씩 또는 독학으로 겨우 알아가고 있는 단계라 각 언어들의 문법만 알지 문풀은 해본 경험이 거의 없다. 이 중에 python은 카테켐 코딩테스트를 위해 프로그래머스로 알고리즘 문제 풀이를 아주 조금 했었다. 카테켐도 듣고, 이리저리 알아보면서 이론적 내용보다 경험과 실력이 중요하다는 걸 알게 되었다. 그러면서 알고리즘 문제 풀이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 자료구조부터 알고리즘 stack que ... 이론만 아는 상황에서 냅다 문제 풀이가 어렵다고 매우매우 느꼈다. 그래도 프로그래머스로 자바 알고리즘을 풀기 시작했다. 백준으로 시작하지 않았던 이유는, 뭔가 python으로 코딩에 입문한..
· 🍵 java
📑 List List는 객체를 관리하는 컬렉션 프레임워크의 한 종류 컬렉션 프레임워크란 ? 더보기 Collection List : 순서를 유지하고 저장, 중복 가능 Set : 순서를 유지하지 않고 저장, 중복 불가능 Map : 키와 값으로 구성된 엔트리 저장, 키는 중복 불가능 📌 배열과 리스트의 차이점 배열 (Array) 리스트 (List) 크기 객체 생성 시 크기 할당이 필수이며, 할당된 크기가 고정됨 크기를 할당할 필요가 없으며 가변적으로 변화함 저장 방식 식별자(인덱스)가 존재 ex) str[i] 객체의 번지를 저장 종류 int, String, long ... ArrayList, Vector, LinckedList 선언 방법 int[] i = new int[5]; String a[] = new S..
c0zi
codelog